반응형
실습) 5행 5열의 배열에 아래와 같이 수가 기억되는 순서도를 완성하라. 단, 2차원 배열의 저장 위치는 아래 왼쪽의 그림과 같고 처리 결과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사용 변수는 다음과 같다.
A : 배열 변수 P : 배열의 행 변수 Q : 배열의 열 변수 M : 배열에 입력되는 값
- 사용 변수는 다음과 같다.
A : 배열 변수 P : 배열의 행 변수 Q : 배열의 열 변수 M : 배열에 입력되는 값
▶순서도 수행 순서 이해
내부 순환구조 M변수의 값을 배열 A[P][Q]에 입력 하는 방법으로 배열에 값을 채웁니다.
이 때 M값을 배열에 입력하기 위한 배열의 행 포인터 P와 열 포인터 Q의 변수의 값은 아래의 순서로 결정됩니다.
1) P가 1일 때 Q는 1, 2, 3, 4, 5
2) P가 2일 때 Q는 2, 3, 4, 5, 1
3) P가 3일 때 Q는 3, 4, 5, 1, 2
4) P가 4일 때 Q는 4, 5, 1, 2, 3
5) P가 5일 때 Q는 5, 1, 2, 3, 4
내부 순환구조 M변수의 값을 배열 A[P][Q]에 입력 하는 방법으로 배열에 값을 채웁니다.
이 때 M값을 배열에 입력하기 위한 배열의 행 포인터 P와 열 포인터 Q의 변수의 값은 아래의 순서로 결정됩니다.
1) P가 1일 때 Q는 1, 2, 3, 4, 5
2) P가 2일 때 Q는 2, 3, 4, 5, 1
3) P가 3일 때 Q는 3, 4, 5, 1, 2
4) P가 4일 때 Q는 4, 5, 1, 2, 3
5) P가 5일 때 Q는 5, 1, 2, 3, 4
4-04 | 실습 | ① | 3 | ② | 7 | ③ | 6 | ④ | 1 |
|
|
|
|
실습) 5행 5열의 배열에 아래와 같이 수가 기억되는 순서도를 완성하라. 단, 2차원 배열의 저장 위치는 아래 왼쪽의 그림과 같고 처리 결과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사용 변수는 다음과 같다.
A: 배열 P 배열의 행 Q : 배열의 열 L 열 시작 R 열 끝
A: 배열 P 배열의 행 Q : 배열의 열 L 열 시작 R 열 끝
▶순서도 수행 순서 이해
배열의 행 변수 P가 1에서 3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과 R변수의 값을 L은 3에서 1씩 감소시키고 R은 3에서 1씩 증가시킨 L과 Q변수의 값으로 L에서 R까지 내부 순환구조로 1씩 증가시키며 반복 수행하며 Q의 값을 결정합니다.
이후 배열의 행 변수 P가 4에서 5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는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은 1씩 증가시키고 R은 1씩 감소시켜 배열의 열 변수 Q의 값을 결정합니다.
배열의 행 변수 P가 1에서 3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과 R변수의 값을 L은 3에서 1씩 감소시키고 R은 3에서 1씩 증가시킨 L과 Q변수의 값으로 L에서 R까지 내부 순환구조로 1씩 증가시키며 반복 수행하며 Q의 값을 결정합니다.
이후 배열의 행 변수 P가 4에서 5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는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은 1씩 증가시키고 R은 1씩 감소시켜 배열의 열 변수 Q의 값을 결정합니다.
4-02 | 실습 | ① | 2 | ② | 4 | ③ | 6 | ④ | 5 | ⑤ | 7 | ⑥ | 8 |
실습) 5행 5열의 배열에 아래와 같이 수가 기억되는 순서도를 완성하라. 단, 2차원 배열의 저장 위치는 아래 왼쪽의 그림과 같고 처리 결과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사용 변수는 다음과 같다.
A : 배열 P : 배열의 행 Q : 배열의 열 L : 열 시작 R : 열 끝
▶순서도 수행 순서 이해
배열의 행 변수 P가 1에서 3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과 R변수의 값을 L은 1에서 1씩 증가시키고 R은 5에서 1씩 감소시킨 L과 Q변수의 값으로 L에서 R까지 내부 순환구조로 1씩 증가시키며 반복 수행하며 Q의 값을 결정합니다.
이후 배열의 행 변수 P가 4에서 5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는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은 1씩 감소시키고 R은 1씩 증가시켜 배열의 열 변수 Q의 값을 결정합니다.
배열의 행 변수 P가 1에서 3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과 R변수의 값을 L은 1에서 1씩 증가시키고 R은 5에서 1씩 감소시킨 L과 Q변수의 값으로 L에서 R까지 내부 순환구조로 1씩 증가시키며 반복 수행하며 Q의 값을 결정합니다.
이후 배열의 행 변수 P가 4에서 5까지 증가하며 반복 수행할 때는 열 변수 Q의 포인터를 결정하는 L은 1씩 감소시키고 R은 1씩 증가시켜 배열의 열 변수 Q의 값을 결정합니다.
4-01 | 실습 | ① | 8 | ② | 3 | ③ | 6 | ④ | 2 | ⑤ | 1 |
|
|
가. 배열(Array)의 정의
a. 동일한 자료형으로 구성되어 공통적인 용도로 사용되어지는 자료들을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연속적
으로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기억 공간 리스트 또는 기억된 자료
b. 배열의 구성 : 배열명(첨자) ∴ 첨자 : 배열을 구성하는 개개의 요소
나. 1차원 배열의 예
예1)의 경우 일반적으로 A(0)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지시가 없으면 A(1)~A(5)로 생각하시면 되고,
예1), 예2) 모두 첨자를 0부터 시작한다면 문제지의 지면에 용법이 기재됩니다.
예제) 배열 A(5)의 각각의 원소에 자연수 5, 10, 7, 9, 30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배열 A(5)에 저장된 자연수를 배열의 첨자순서대로 출력하는 순서도를 작성하라.
(단, 배열 변수는 A(5)로 지정하고 인덱스 변수는 I로 지정한다.)
다. 2차원 배열의 예
※ 2차원 배열의 제는 2-4에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의 배열의 처리방법은 컴퓨터 언어마다 조금씩의 차이가 있습니다.
본 블로그의 강좌에서는 배열의 첨자에 관련된 특별한 내용이 없으면 배열 첨자의 시작은 1부터 시작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2차원 배열은 (행, 열) 단위로 작성합니다.
반응형